환경, 농업 그리고 에너지 분야 정밀기술기업
DIGIQUAY
Home 〉 핵심기술과 솔루션 〉 병해충발생예측Ⅱ
지역 | 조사 농가수 | 피해율(%) | ||
검은점무늬병 | 더뎅이병 | 궤양병 | ||
서귀동, 남원 | 13 | 65.2 | 38.8 | 0.1 |
표선, 성산 | 4 | 78.9 | 80.2 | 0.0 |
제주 북 | 9 | 56.8 | 39.6 | 0.5 |
한림, 한경 | 4 | 51.3 | 47.0 | 2.9 |
서귀서, 대정 | 7 | 64.3 | 41.9 | 0.0 |
평균(2014년) | 63.3 | 44.6 | 0.6 | |
2013년 평균 | 55.1 | 17.7 | 0.9 | |
2012년 평균 | 66.4 | 9.3 | 0.0 |
※ 출처 :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연구소 2014년 ‘주요 감귤 병 발생 생태 및 친환경 농자재를 이용한 방재’ 자료에서 발췌
구분 | 발생환경 | 발병증상 | 방제 | |||
과실 | 줄기 | 잎 | 재배적 | 약제적 | ||
검은점 무늬병 | 24~28℃에서 8시간 이상, 20℃에서는 12시간 이상의 습윤 조건 잠복기간은 25℃에서 1~2일, 10℃에서는 7일 | 병반 모양은 흑점형, 니괴형, 누반형 (과실비대기전-전염성 있음) (과실비대기후-전염성 없음) | 신초나 녹지(綠地)에 5월 초 중순경 이후로 감염 (생균전염) | 5월 초, 중순경 잎이 굳어지기 전에 감염되기 시작하여 전형적인 검은 점, 황화심한 경우 낙엽화 (전염안됨) | 죽은 가지 및 전정가지 제거 – 습윤 기간 최소화 | 낙화기는 5월 중순에서 말경으로 이때부터 8월 하순사이에 약 15~20일 간격, 또는 200~250m의 누적 경우 시 마다 4~5회 만코제브 약제를 살포 |